거짓 정보 제공, 과도한 공포심만 자극한다면 역효과 불러 무분별한 공포 마케팅 경계하는 태도 필요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연예스포츠신문] 조세령 기자 = ‘공포’라는 감정에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무서운 영화를 보고 등골이 오싹해지는 경험 이외에도 우리는 일상의 많은 부분에서 공포를 마주하고 있다.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불안함, 주류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에서 오는 걱정 및 소외감 등이 모두 공포라는 감정의 스펙트럼에 포함된다. 피하거나 도망치고 싶은 부정적인 감정이 때로는 소비자들을 움직이게 하는 동기가 되기도 한다. 고도의 심리전이라고 불리는 마케팅 영역에서 고객들의 공포를 소비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뚜렷한 수단이 바로 ‘공포 마케팅’이다. 공포 마케팅은 부정적 상황이나 불행을 인..